2022년
05월
시스템 개편 및 명칭(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ISBN·ISSN·납본 시스템) 변경
2019년
02월
ISBN·CIP 통합 운영(ISBN신청시 표지(표제지) 이미지 파일 등록 또는 판권지 내용을 기재하면 CIP 발급)
2018년
12월
「한국문헌번호 편람-ISBN/ISSN」 개정 7판 발간
2013년
08월
「한국문헌번호 편람 - ISBN / ISSN」 개정 6판 발간
03월
홈페이지 개편(한국문헌번호센터 →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979-11의 발행자번호 배정 시작
2012년
01월
전자출판물 발행형태기호(부가기호 제2행)가 '8'→'5'로 변경
2011년
09월
제39회 ISBN 국제연차회의 참석(남아프리카공화국 프레토리아 국립도서관)
2010년
09월
제38회 ISBN 국제연차회의 참석(포르투갈 리스본)
2009년
09월
2009 ISBN 국제연차회의, ISBN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
2007년
05월
한국도서번호 통보서 처리 결과 통보 서비스 실시(SMS 및 e-mail)
01월
ISBN 바코드 제공 서비스 개시
사이버 교육 수정 제작 및 홈페이지에 업로드
2006년
12월
홈페이지 13자리 시스템 재편 및 회원 로그인 시스템으로 개편
11월
「한국문헌번호편람-ISBN/ISSN」 개정5판 발간
10월
ISBN의 한국산업규격(KSX 6004) 개정(10자리→13자리)
07월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KS 개정(안) 공청회개최
국제ISBN관리기구 업무이관(독일 베를린국립도서관→영국
EDItEUR
2005년
10월
한국문헌번호 사용자 교육의 사이버교육 실시
07월
한국문헌번호센터 및 납본 기증관련 대표전화 개설:02-5900-700
2001년
02월
한국문헌번호운영위원회 구성(국립중앙도서관 규정 제285호)
2000년
11월
『한국문헌번호편람-ISBN/ISSN』개정4판 발간
02월
『ISBN Data Base 구축사업 실행계획(안)』보고
1999년
11월
한국문헌번호센터설치및 운영규정 제정 (국립중앙도서관규정 제265호)
05월
『한국문헌번호편람-ISBN/ISSN』개정3판 발간』
04월
ISBN 국제기구와 협의하여 발행자 번호 자리수 재조정
1998년
12월
『한국문헌번호제도의 발전방앙 연구』용역보고서 발간
1996년
06월
공중정보통신망을 통한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온라인 서비스(나우누리,천리안,하이텔,BMK)
1990년
10월
한국문헌번호운영심의회 규정 제정(국립중앙도서관 규정 제 138호)
08월
국제 ISBN 관리기구에 공식가입,국가번호 "89"배정
1972년
독일에 국제 ISBN 관리기구(Int'1 ISBN Agency)설립
1968년
국제표준도서번호제정(ISO/TC46/SC9/WG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