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컬렉션
주제별컬렉션
디지털컬렉션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디지털화 자료 중 가치 있는 지식문화자원을 선별, 콘텐츠로 구축하여 제공합니다.
-
더 험난한 길을 걸어야 했던, 해방을 위한 여성 독립운동가의 삶과 투쟁현장을 재조명하고, 당 시대의 여성 독립운동가를 이야기 합니다.
-
전염병의 피해를 이겨낸 우리 조상들의 예방과 치료에 관한 연구와 노력을 지식의 흔적! 고문헌 자료를 통해 알아봅니다.
-
소공동 시절부터 남산, 반포동 시대까지 100년에 가까운 국립중앙도서관의 역사를 사진으로 둘러봅니다.
-
국립중앙도서관 개관 75주년을 맞아 디지털도서관의 탄생에서 성장까지 약 10년의 여정을 기록하며 준비한 컬렉션입니다.
-
평생 건강 지킴이 국민건강보험이 여러분의 평생건강을 지켜드립니다.
-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기까지 헌신한 재외동포들의 활약상을 재조명하고, 재외동포사회가 구축한 소중한 문화활동을 소개합니다.
-
국립중앙도서관에 수집한 미국립문서기록관리청의 임시정부 관련 기록물을 해제 및 번역하여 소개합니다
-
다양한 종류의 연구를 수행하여 대한민국 이민정책 개발에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고 새로운 정책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
아동문학사의 시대적 경향과 주요 작가들의 작품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국내 주요 아동문학상 수상작품을 소개합니다
-
KOTRA 발간자료를 통해 수출과 함께하는 한국 경제 발전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보형의 기증 자료들을 중심으로 1970년대 판소리 감상회에 대해 알아봅니다.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해 공동제작하였습니다.
-
소장자료를 통해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과 국가적 분위기를 알아볼 수 있다.
-
우리나라 정보화의 역사와 ICT 기반 정책에 대한 연구·보고자료 ※ 국가정책정보협의회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과 공동제작하였습니다.
-
한국문학 번역출간에 대한 현황과 한국 작품에 대한 해외에서의 반응을 알아볼 수 있다. (국가정책정보협의회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한국문학번역원과 공동제작하였습니다.)
-
소장자료를 통해 조선통신사를 계기로 이루어진 한일 양국 문화교류의 흔적을 알아볼 수 있다.
-
한국에서 출판사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부터이다. 이 때 발간된 문학 작품들을 통해 한국 근대 출판문화의 변화를 알아볼 수 있다.
-
북한의 실상, 국내외 북한전문가들의 다양한 견해와 관촉 등의 연구자료 ※ 국가정책정보협의회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통일연구원(KINU)과 공동제작하였습니다.
-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 3월 1일 '독립선언'에 나타난 자주독립 이념을 기반으로 수립된 독립운동의 총 지휘기관이었습니다. 27년간 상하이를 비롯한 중국의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며 1945년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권회복 및 항일전선을 위한 다양한 독립운동운동에 대해 알아봅니다.
-
국왕과 왕비, 왕세자의 어보가 사용된 고문서, 고서를 살펴보고 조선시대 어보의 특징과 왕실 문화에 대해 알아봅니다.
-
아름다운 산수 공간인 누정에 관해 옛 지식인들이 남긴 시문, 가사, 기문 등의 기록을 살펴보고 조선시대 풍광과 풍류생활에 대해 알아봅니다.
-
고려시대, 조선시대 주조한 금속활자로 찍은 고문헌 자료를 통해 우리의 인쇄기술과 문화수준 발달을 조명해봅니다.
-
조선의 청, 두 나라 문인들의 교류를 통해 동일 문하권의 보편적인 가치를 공유함으로써 한류의 뿌리가 되는 문명 교류사의 한 측면을 조명해 봅니다.
-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중으로 보물 1085호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동해의 아름다운 섬 '독도'는 명백한 대한민국 영토입니다. (동도 : 동경 131"52' 10.4" 북위 37"14' 26.8"), (서도 : 동경 131"51' 54.6" 북위 37"14' 30.6")
-
선비정신이 작동했을 때 사회는 건강했고, 선비정신이 무너졌을 때 나라가 패망했다.
-
한국 역사 속에서 시대별로 일어났던 전쟁 관련 문헌 자료를 통해 역사적인 지식과 시대 상황에 대해 알아봅니다.
-
한국 역사 속에서 업적을 남긴 사회 각 분야 인물의 저서를 통해 현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혜에 대해 알아봅니다.
-
국토의 계획·개발의 역사와 과정, 정책 등 국토연구 관련 보고서 (국가정책정보협의회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국토연구원(KRIHS)와 공동제작하였습니다.)
-
조선시대 기록문화 발달로 참고용 사전의 편찬과 이용이 활발하였음을 보여주기 위해 백과사전, 한자사전, 생활백과사전, 특수사전 등 다양한 종류의 사전을 살펴보는 전시
-
규남 하백원 선생의 책과 지도, 천문도, 회화 속에 담긴 투철한 실학사상의 정신을 알아보는 전시
-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다양한 지리지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전통시대 전 세계에서 지리지가 가장 발달한 나라 중의 하나였던 조선의 새로운 모습을 조명하고자 한 전신
-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중인 개화기, 일제강점기, 미군정기 교과서 중 전문가에 의해 선정된 40건의 교과서
-
조선은 문헌의 나라로, 조선의 서책 중 가장 뛰어난 것이 조선 왕실의 서책입니다. 최상의 종이를 사용해 숙련된 장인이 제작한 조선 왕실의 다양하고도 풍부한 기록 자료를 알아봅니다.
-
한국신문 연재만화의 선구자!! 한국의 역사를 올곧게 말한다. 고바우 김성환 화백의 시사만화
-
1945년 이전에 외국인이 저술한 한국의 경제, 사회, 역사, 문화에 관한 자료
-
우리나라의 주요 경제 정책 관련 시대별·이슈별 자료 (국가정책정보협의회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KDI와 공동제작하였습니다.)
-
원곡과 위조곡이 다수 혼용되고 있는 가수 남인수와 배호의 원곡 여부를 구분하여 정확한 안내정보와 음원 서비스 제공
-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중인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출간된 한글판 딱지본소설
-
1910년 ~ 1945년 창간된 잡지들을 통해 그 시대의 대중의 삶과 생활등을 알아볼 수 있다.
-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국보, 보물급 소장자료 등 희귀본(old and rare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