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자료검색
1899
1899년
작품
- 신문: 황국협회 홍중섭 『시사총보』 창간(1.20),《독립신문》 폐간(12.4)
사건
- 서대문↔청량리간 전체궤도 완공(5.4)
- 인천↔노량진 간 철도 개통(최초의 철도)(9.18)
1900
1900년
사건
- 한강철교(7.5), 경인철교 완전개통(11.12)
- 최초로 경인간 시외 전화 개통(7월)
1901
1901년
사건
- 신식 화폐 조례 공포(금본위제채택)(2.12)
- 제주민란 발생
1902
1902년
작품
- 신문: 《황성신문》에 「국문선확장」 발표, 《황성신문》휴간
사건
- 최초의 서양식 극장 협률사에서 〈소춘대유희〉공연(12.?)
- 국가 제정(에케르트 작곡)(8월), 출판법공포(허가주의 채택)
- 국문학교 설립(김가진, 지석영 등)
1903
1903년
사건
- 러시아, 용암포 간에 전선을 가설하고, 용암포의 조차를 요구(7.8)
- 친목회 조직(안창호, 이대위 등, 샌프란시스코, 9.23), 황성기독교 청년회(YMCA) 창립(10.8)
1904
1904년
작품
- 신문: 『The Korea Daily News』, 『대한매일신보』, 『신조신문』, 『매일신보』창간
사건
- 한일의정서 조인(2.23)
- 용암포 개항(3.21)
- 진보회 조직(이용구, 8.16)
- 이용구, 송병준 등 유진회와 진보회 통합, 일진회 조직(9월)
- 경부철도 완공(11.10)
- 러일전쟁 발발
1905
1905년
작품
- 소설: 「소경과 앉은뱅이 문답」, 「거부오해」 등 발표
사건
- 한일협상조약(제2차 한일협약, 을사조약, 5조약) 조인(통감정치 실시, 외교권 박탈)(11.7)
- 손병희,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12.1)
1906
1906년
작품
- 소설: 이인직의 신소설 「혈의 누」, 「귀의 성」 을 『만세보』에 연재
- 잡지: 『대한자강회월보』(대한자강회월보사무소) , 『태극학보』(태극학회), 『소년한반도』(소년한반도사), 『서우』(서우학회관) 등 창간
- 신문: 일진회 기관지 『국민신보』 창간(1.6), 천도교, 『만세보』 창간(6.16~1907.6.30), 천주교, 『경향신문』 창간(10.19~1910)
사건
- 대한자강회 조직(윤효정, 장지연 등, 3.31)
1907
1907년
작품
- 소설: 김병헌 『서사건국지』(박문서관), 박은식 『서사건국지』(대한매일신보사), 이인직 『혈의 누』(김상만서포), 『귀의 성』(광학서포), (광학서포), 이해조 『자유종』, 장지연 『애국부인전』(광학서포) 등 발간
- 잡지: 『야뢰』(야뢰보관) 등 창간
사건
- 국채보상운동 발기(대구, 1.29)
- 학부에 국문연구소 설치(소장 윤치오, 7.8)
- 신문지법(광무신문지법) 제정(7.14)
- 한일 신협약 조인(차관정치 시작)(7.24)
- 광문 신문법 제정(7.24)
- 군대해산조치(8.1 해산식 거행)(7.24)
- 항일 비밀결사 신민회 조직(안창호, 이갑, 양기탁 등, 9월)
1908
1908년
작품
- 소설: 구연학 『설중매』(회동서관), 신채호 『을지문덕』(광학서포), 안국선 『금수회의록』(황성서적조합), 육정수 『송뢰금』(박문서관), 이인직 『은세계』, 『치악산(상편)』(유일서관), 이채우 『애국정신』(중앙서관), 이풍호 『계명셩』(광학서관), 이해조 『구마검』(대한서림), 『빈상설』(광학서포), 『철세계』(회동서관), 『홍도화(상)』(유일서관) 등 발표
- 시: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등 발표, 『경부철도노래』(신문관) 등 발간
- 평론: 신채호「近今 국문소설 저자의 주의」(『대한매일신보』, 7.11)
- 잡지: 『대동학회월보』(대동학회회관), 『대한학회월보』(대한학회사무소), 『대한협회회보』(대한협회사무소), 『서북학회월보』(서북학회), 『기호흥학회월보』(기호흥학회사무소), 『소년』
사건
- 기호흥학회 설립(정영택, 이우규, 이재익 등, 전영정, 1.19)
- 연극장 원각사 개설(이인직, 박정동 등, 7.26)
- 최초의 신극 <은세계> 공연(이인직, 원각사, 11.11)
- 동양척식회사 설립(12.28)
1909
1909년
작품
- 소설: 신채호 「최도통전」, 이광수 「愛か」, 이해조 『원앙도』(중앙서관), 최병헌 『성산명경』(황화서재), 현순 『포와유람기』(현공렴) 등 발표
- 평론: 신채호 「소설가의 추세」, 「천희당 시화」 등 발표
- 번역: 『걸리버 유람기』(신문관) 등 발간
사건
- 출판법 공포(출판물의 원고 검열 및 배일적 압수)(2.23)
- 이토히로부미 암살(안중근, 하얼빈, 10.26)
1910
1910년
작품
- 소설: 이광수 「어린 희생」, 「무정」 등 발표김필수 『경세종』 (광학서포), 박영진 『요지경』(수문서관), 이해조 『자유종』(광학서포), 『만월대』(동양서원), 『홍도화(하)』(유일서관) 등 발간
- 평론: 이광수 「문학의 가치」(대한흥학보) 발표
- 신문: 『대한매일신보』, 조선총독부에 강제 매수되어 『매일신보』로 발행
사건
- 출판규칙 발표(한인에 대하여 계출주의 채택)(5.?)
- 한일 합방 조약 공포, 조선총독부 설치(8.29)
-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관제 공포(토지조사사업 시작)(9.30)
- 조선광문회 발족(최남선, 10.10)
- 회사령 공포 시행(12.29)
1911
1911년
작품
- 소설: 김교제 『치악산(하편)』(동양서원), 『목단화』(광학서포), 현공렴 『동각한매』, 『죽서루』 등 발표, 이해조 『화의 혈』 을『매일신보』에 연재(4.6.~6.21., 총 66회), 『쌍옥적』(보급서관), 『월하가인』(보급서관), 『화세계』(동양서원), 『목단병』(박문서관), 『원앙도』(동양서원) 등 발간
사건
- 경무 총감부, 안명근의 체포를 계기로 황해도 일대의 민족주의자 총검거 시작(안악사건, 105인 사건)(1.1)
- 재동경한국인유학생학우회 창립(10.27)
1912
1912년
작품
- 소설: 이해조 「강상련」, 「연의 각」, 조중환 「병자삼인」 등 발표, 김교제 『지장보살』(동양서원), 『비행선』(동양서원), 『현미경』(동양서원), 김용준 『황금탑』(보급서관), 김우진 『화상설』(동양서원), 민기호 『동정춘추』(동양서원), 민준호 『마상루』(동양서원), 박영운 『공산명월』(박문서관), 박이양 『명월정』(유일서관), 선우일 『두견성』(보급서관), 소운 『벽부용』(회동서관), 이상협 『재봉춘』(동양서원), 이인직 『모란봉』(동양서원), 이해조 『고목화』(동양서원), 『탄금대』(신구서림), 『강상련』(동광서국), 『옥중화』(보급서관), 『옥호기연』(보급서관), 『화의혈』(보급서관), 『춘외춘』(신구서림), 『구의산』(신구서림), 『강상기우』(동양서원), 『소양정』(신구서림), 지송옥 『검중화』(신구서림), 청초당 『강상촌』(박학서원), 최찬식
사건
- 이문회 조직(경학과 시문 연구 단체)(회장 박제순, 1.7)
- <육혈포 강도>, <군인의 기질>, <친구의 형 살해> 공연(혁신단, 연흥사, 2.18~2.21)
- <지성감천> 공연(조중환의 혁신선민단 주최, 단성사, 2.19)
- 문수성 창립(윤백남, 조장환), <불여귀>공연(덕부로화)
- 전국 토지 소유 관계를 토지 조사국에 신고토록 지시(7.20)
1913
1913년
작품
- 소설: 이상협 『눈물』 을 『매일신보』에 연재(7.16.~10.25), 이인직 『모란봉』을 『매일신보』에 연재(2.5.~6.3.), 김교제 『난봉기합』(동양서원), 박영운 『금지환』(동양서원), 박이양 『청천백일』(박문서관), 소운 『백년한』(회동서관) 안경한 『단산봉황』(신구서림), 은국산인 『누구의죄』(보급서원), 이상춘 『박연폭포』(유일서관), 이해조 『봉선화』(신구서림), 『비파성』(신구서림) , 『천중가절』(유일서관), 이해조 『소학령』(신구서림), 『우중기연』(신구서림), 『우중행인』(신구서림), 『연의 각』(신구서림), 조중환 『장한몽』(유일서관), 지송옥 『부용의 상사곡』(신구서림), 현병주 『화원호접』(대창서원) 등 발간
- 시: 최창선 『가곡선』(신문관)
사건
- 소설 「혈의 누」 공연(유일단, 연흥사, 1.?)
- 신문연재소설 「쌍옥루」 공연(혁신단, 연흥사, 4.29)
- 흥사단 조직(안창호, 송종우 등, 샌프란시스코, 5.13)
1914
1914년
작품
- 소설: 현상윤 「한의 일생」, 「박명」 등 발표, 김용준 『금국화』(보급서관), 김영한 『송죽』(동미서시), 『부용헌』(동미서시), 박영운 『최신풍화소설(상)』(평양춘포약국), 이광하 『금옥연』(동미서시), 이상춘 『서해풍파』(유일서관), 이종린 『영산홍』(성문사), 조중환 『국의 향』(유일서관), 지송욱 『이화몽』(신구서림), 최찬식 『금강문』(박문서관), 『안의 성』(박문서관), 황갑수 『정본 채봉감별곡』(박문서관) 등 발간
- 잡지: 『학지광』(학지광발행소), 『청춘』(신문관) 등 창간
1915
1915년
작품
- 소설: 안국선 『공진회』(안국선자택), 현공렴 『백림파리』(동미서시) 등 발표
- 평론: 김억 「예술적 생활」(학지광), 백대진 「현대조선에 자연주의문학을 제창함」(학지광)
사건
- 신한혁명당 조직(유동열, 박은식, 신규식, 이상설 등, 상해, 3.?)
1916
1916년
작품
- 소설: 남궁설 『상사루』(한성서관), 이해조 『토의 간』(박문서관) 등 발표김여제 「만만파파식적」 발표
사건
- 예성좌, 문수성, 혁신단 등의 단성사 합동공연(최초의 대규모 신판 연극)(6.2)
- 일육군 대장 장곡천호도(長谷川好道), 조선총독부에 임명됨(10.16)
1917
1917년
작품
- 소설: 김명순 「의심의 소녀」, 이광수 「무정」, 「개척자」, 「소년의 비애」, 현상윤 「광야」 등 발표, 이상협 『눈물』(동아서관), 이종린 『홍루지』(회동서관) 등 발간
- 평론: 이광수 「천재야!천재야!」(학지광)
- 잡지: 『반도시론』(반도시론사), 『여자계』(여자계사), 『조선문예』(조선문예사)
사건
- 광복단 각지의 부호들에게 국권 회복 운동 자금을 요구하는 통고문을 보냈다가 발각됨(광복단 사건)(10월)
1918
1918년
작품
- 소설: 나혜석 「정순」 등 발표, 심천풍 『형제』(영창서관), 이광수 『무정』(광익서관), 이상협 『무궁화(상)』(신문관), 이해조 『홍장군전』(오거서창), 최찬식 『삼강문』(덕흥서림) 등 발간
- 평론: 이광수 「자녀중심론」, 한용운 「조선청년과 수양」 등 발표
사건
- 총독부의 토지조사사업 완료(6.18)
1919
1919년
작품
- 소설: 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마음이 옅은 자여」, 윤백남 장편 「몽금」 등 발표,전영택 「운명」, 김교제 『쌍봉쟁화』(보문관), 김이태 『강상루』(대창서원), 최찬식 『능라도』(유일서관) 등 발간
- 시: 주요한의 「불놀이」를 『창조』 창간호에 발표(2.1)
- 평론: 김동인 「소설에 대한 조선사람의 사상을」 발표
- 희곡: 최승만 「황혼」 발표
- 잡지: 『신청년』(영풍서관),
사건
- 동경 유학생 600여명,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독립선언서 발표(2.8)
- 민족대표 33인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 낭독
- 서울 탑골공원을 정점으로 독립요구 시위 계속, 각지에 파급(3ㆍ1독립운동)(3.1)
- 민족운동지도자 30여명, 상해 프랑스조계 금신부로(金神父路)에서 제1회 임시의정원 개원,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임시 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