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어 자동완성 목록

    고급검색

    다른 검색도 이용해 보시겠습니까?
    • 국가자료종합목록 전국 공공도서관의 소장 자료에 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이자 도서관 간 정보 공유 및 상호 협력 네트워크입니다.
    • 한국고문헌종합목록 전국의 고전적 소장처를 연계하여 한국 고전적에 대한 목록, 해제, 원문 등을 제공합니다.
    • 온나루 통합검색 국립중앙도서관 및 외부 연계 시스템의 지식정보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QUICK MENU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국립중앙도서관의 보도자료를 제공해 드립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보도자료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 OAK 리포지터리 보급 협약 체결
    • 작성부서 국제교류홍보팀
    • 등록일 2024-04-19
    • 조회 484
    글자크기

    국립중앙도서관, OAK 리포지터리 보급 협약 체결

    - 광주과학기술원 등 3개 기관과 학술정보 개방‧공유를 위한 협력 확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은 4월 19일(금) 오후 2시 ▲광주과학기술원(GIST), ▲한성대학교,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2024년 OAK(Open Access Korea, 이하 OAK) 리포지터리 보급 협약식’을 개최했다.

    OAK 리포지터리(Repository)는 기관의 소속 연구자들이 생산한 연구성과물을 영구적으로 보존하고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오픈액세스* 온라인 저장소이다. 국립중앙도서관은 2014년부터 국내 공공기관, 연구소, 대학 등 61개 기관에 리포지터리를 보급해 왔다. 현재까지 131만여 건의 학술정보가 개방되었으며, 연간 리포지터리 사이트 이용은 1억 2천만 건, 콘텐츠 다운로드는 3천 6백만 건 이상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과학기술, 인문사회 분야 학술정보 5만여 건이 국민들에게 추가로 제공될 예정이다. 특히, 광주과학기술원(GIST)의 참여로 국내 4대 과학기술원**의 연구성과물을 OAK 국가리포지터리 누리집(oak.go.kr)을 통해 한눈에 볼 수 있게 된다.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정보기획과 김수정 과장은 “국민들이 다양한 학술연구 정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리포지터리 보급기관을 확대하고, 공개할 수 있는 콘텐츠 유형을 확장하기 위해 관계 기관들과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오픈액세스(Open Access, OA):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도록 법적·경제적·기술적 장벽을 없앤 학술정보 유통 모형
    ** 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붙임: OAK 리포지터리 보급 협약식 사진

    담당자구분
    담당 부서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기획과
    책임자 과장 김수정 (02-590-0560)

    담당자

    사무관 강민기 (02-590-6314)

    관련단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