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도서관  

       


  미국의 저명한 주간지 ‘타임’은 2006년 올해의 인물(Time's Person of the Year)로, 블로그나 UCC 동영상의 폭발적 성장과 영향력에 따라 “당신(You)”을 선정했다. 타임지는 올해의 인물로 인터넷상에서 콘텐츠를 이용하거나 만들어내는 사람이면 누구나 해당된다고 설명하고, 정보의 소비에만 머물렀던 당신들을 정보의 생산자와 유통자로 발전시킨 것은 Web 2.0의 힘이라고 강조했다.1)

  사용자들의 직접적인 참여와 개방성을 기저로 하는 Web 2.0 환경이 시나브로 도래하면서, 소비자에 그쳤던 인터넷 사용자는 콘텐츠를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생산하는 프로슈머(Prosumer)2)로 거듭나게 되었다. 이렇게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생산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콘텐츠를 UCC(User Created Contents)라 칭하며 외국에서는 주로 CGM(Consumer Generated Media) 혹은 UGC(User Generated Contents)로 쓰고 있다.
 

  기실은 UCC라는 것이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개념은 아니다. UCC는 본디 오래 전부터 존재해 오던 것이었다. 일반인들이 만든 글, 그림, 영상 따위의 모든 콘텐츠가 UCC였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UCC라고 하면 동영상을 떠올릴 정도로 ‘UCC는 곧 동영상’이란 인식이 팽배하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주요 포털 사이트들의 대대적인 마케팅 전략에 학습된 결과 때문이겠지만, 대개 UCC로 소개되는 동영상들이 짧은 시간에 완결됨에 따라 동영상은 어느 매체보다 ‘빨리빨리’라는 우리 국민성에 부합한다3)는 진단도 눈여겨볼 만하다.

  이번 호에서는 유튜브(YouTube)를 비롯한 각종 UCC 사이트에 업 로드된 동영상 중에서 도서관이나 사서를 소재로 한 세계 각국의 재미있는 동영상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중에는 일반 사용자가 만든 것도 있고 도서관에서 만든 것도 있으니 제작ㆍ주체별로 비교 감상해 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참고로, UCC의 본질에 어긋나는 동영상 즉, 개인이 아닌 방송사나 광고사와 같은 전문회사에서 제작한 동영상도 서너편 포함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도서관도 얼마든지 재미있다!

도서관 뮤지컬
(Reading on a dream : a library musical)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mUyvaPtsJw

  모두가 조용히 책을 보고 있는 컬럼비아대학교 도서관. 갑자기 한 학생이 나타나 느닷없이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도서관에서는 아무도 노래하지 않아.  하지만 난 노래를 부를 거야. 누구도 날 멈추게 할 순 없어.” 때 아닌 뮤지컬에 어리둥절하던 도서관 이용자들은 어느덧 공연(?)에 빠져들고, 공연이 끝나자 심지어 박수까지 치며 환호한다.

  이른바 ‘게릴라 뮤지컬’로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이 젊은이들은 다름 아닌 컬럼비아대학교 재학생들로 구성된 프랭스터그룹(Prangstgrüp)이라는 동아리. 자신들이 직접 작사ㆍ작곡한 뮤지컬을 아무런 예고 없이 ‘실제상황’으로 공연한다. 도서관뿐만 아니라 강의실 같은 곳에서 갑자기 공연을 펼쳐 교수를 당황하게 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학생들과 교수의 반응은 좋은 편이이라고. 많은 관객(?)들이 처음에는 당황하지만 뛰어난 노래 실력과 재치 있는 노랫말 때문에 곧 웃음을 터트리고 공연이 끝나면 큰 박수를 보낸다는 것이다. 한편, 공연 실황을 녹화한 동영상은 그들의 공식 홈페이지(http://www.prangstgrup.com)를 통해 제공된다.
 

종이 박스 레이스 (Cardboard Box Race)
동영상 보기 : http://www.compfused.com/directlink/4115/

  멀쩡하게 생긴 두 명의 건장한 젊은이가 종이 박스로 추정되는 재료로 만든 경주용 자동차(?)를 타고 도서관 서가 사이로 컴퓨터게임 같은 스릴 만점의 레이스를 펼친다. 도대체 어찌된 영문일까?

  정답은 스톱 모션(stop motion) 기법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정지된 화면을 한 컷 한 컷 일일이 촬영한 후, 이를 연결시켜 마치 움직이는 화면처럼 보이게 하는 방법이다. 적당한 배경 효과음으로 인해 종이 박스 자동차의 궤적이 더욱 실감난다.

☞ 관련 동영상 : Librarian Jim - http://www.youtube.com/watch?v=8sB68Gt7Dz8
 

팩맨의 침공
(Pac-Man Invad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동영상 보기 :
http://www.compfused.com/directlink/3515/

  미시건대학교 도서관 안에 갑자기 비디오게임의 주인공 팩맨(Pac Man)이 영원한 숙적 몬스터에게 쫓기는 기상천외한 사태가 벌어진다. 게임에서 튀어나온 듯한 광경을 본 이용자들은 어안이 벙벙하다가 이내 박장대소!

  팩맨은 일본의 게임기 회사 남코(Namco)가 1980년에 제작한 게임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성공한 아케이드 게임으로 2005년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노란색 원형의 캐릭터인 팩맨을 조작하여 미로 안에서 4마리의 몬스터를 피해 모든 쿠키를 먹어야 한다는 내용의 게임이다.
 

도서관에서 오해 (Library Pervert)
동영상 보기 : http://prankvote.com/7.html

  친구를 골려줄 요량으로 노트북 운영 체제의 시작음을 에로영화의 배경음으로 설정해 놓은 걸 전혀 눈치 채지 못한 어수룩한 청년이 도서관 자료실에서 노트북 전원을 켠다. 포복절도할 이 장면을 찍은 몰래카메라.


잭 스패로우 선장의 모험
(The Adventures of Jack Sparrow)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3AtJIvxlY-w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의 주인공 잭 스패로우(Jack Sparrow)가 도서관에 잠입해 해적 관련 책들을 훔쳐 간다는 내용이다. 실제 배우인 조니 뎁(Johnny Depp)이 아니라 코스튬 플레이를 취미로 둔 어느 청년이 연기한 것이며, 그의 홈페이지(http://sithcamaro.com)에서는 다른 영화 주인공들을 코스튬 플레이한 사진을 제공하고 있다.
 

아마데우스 (Interval Library)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Ns314ZNaJb4

  모차르트의 터키행진곡을 도서관의 모빌랙과 책들을 배경으로 제작한 일종의 뮤직비디오이다. 百聞이 不如一見.
 

조용한 도서관 (Silent Library)
동영상 보기 : http://mojoflix.com/Video/Silent-Library.html

  원래 이 코너는 일본의 한 개그 프로그램에서 시작된 것으로 우리나라의 어느 프로그램에서도 유사한 방식의 게임을 진행한 적도 있다. 게임 방법은, 테이블에 돌려진 카드를 선택하여 벌칙 카드를 뽑은 참가자에게 미리 정해 놓은 벌칙을 주는 것이다. 단, 게임이 진행되는 내내 말문을 열면 안 된다는 규칙이 있다. 이종격투기 K-1 챔피언에 네 차례나 올랐던 네덜란드의 어네스트 호스트(Ernesto Hoost)가 게스트로 참여하여 굴욕(?)을 당한 영상이 인터넷으로 퍼지면서 대학가를 중심으로 서양에서 널리 파급되기도 했다.

☞ 관련 동영상 :
   ANC College Group Silent Library Slapping Machine
   http://www.youtube.com/watch?v=0ftKpFvaz0k

   Silent Library at Binghamton University
   http://www.youtube.com/watch?v=fUIVzP8WKsM

   Silent Library - Reno - Full Version
   http://www.youtube.com/watch?v=m2PXCY3RQpU
 

방귀 대장 (Farting in Public)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O3ejlkzDCuc

  도서관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방귀 소리를 내는 기계로 마치 방귀를 낀 것처럼 했을 때 나타나는 사람들의 다양한 반응을 담았다.
 

금발이 너무해 (Dumb Blonde)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7xYkiN4-gl8

  조용한 도서관 자료실. 금발의 아가씨가 사서에게 다가와서는 뜬금없이 큰 소리로 “여기 햄버거랑 프렌치프라이, 밀크셰이크 주세요!”라고 음식을 주문한다. 황당해 한 사서가 “여긴 도서관이라구요!”라고 면박을 준다. 그 말을 들은 아가씨, 주위를 둘러보니 이용자들이 곱지 않은 시선으로 쳐다본다는 걸 느낀다. 어떻게 이 사태를 수습할까? 절묘한 반전은 -실은 유명 자동차 회사의 광고인- 동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하시길.

 

사서들의 이런 모습 처음이야!

흥분한 사서 (Crazy Librarian)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kQHEoFSpjd4

  어느 학교도서관 사서가 도서관 규칙을 어기는 학생을 처단하려다가 도리어 학생들에게 당한다는 내용의 콩트.

☞ 관련 동영상 :
    The Librarian
    http://www.youtube.com/watch?v=AhWkbicYtoE

    Vampire Librarian
    http://www.youtube.com/watch?v=yEmjRH9l-K0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서
(The World's Fastest Librarian)
동영상 보기 :
http://video.google.com/videoplay?docid=-5072992838683117759

  메디슨 공공도서관에서 일하는 메리(Mary)라는 가상의 사서가 세계 신속 사서 대회(World’s Fastest Librarian Competition)를 준비하는 내용을 담았다. 12곳 이상의 문헌정보학과 대학원생들이 공동으로 제작한 프로젝트로서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 문헌정보학연구소 도서관에서 촬영되었으며, 2005년 10월 위스콘신도서관협회 연차총회에서 공개되었다.
 

코난 더 라이브러리언 (Conan the Librarian)
동영상 보기 : http://www.compfused.com/directlink/4175/

  코난 더 라이브러리언(Conan the Librarian)은 영화나 만화로 잘 알려진 코난 더 바바리안(Conan the Barbarian)을 패러디한 캐릭터이다. 이 캐릭터는 1987년 ‘Mother Goose and Grimm’ 이라는 만화에 처음 등장했다. 책을 반납하러 온 왜소한 돼지 앞에 앉아 있는 우락부락한 모습의 사서가 바로 그이다.

  이 캐릭터는 1988년 TV시리즈 ‘Reading Rainbow’에 나타났다가, 이듬해인 1989년에는 패러디 가수로 유명한 알 얀코빅(Weird Al Yankovic) 주연의 영화 ‘UHF’에 “서가의 수호자(Guardian of the Shelves)”로 등장해 매우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그 후에도 도서관계를 비롯한 미국 대중문화에서 곧잘 패러디로 확대 재생산되는 아주 독특한 존재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들은 무대로 갔다 (The Librarians)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1D7-Cb8GCco

  1996년 영국에서 두 명의 여성 사서가 부적절한 행동으로 이동도서관에서 해고되었다. 그래서 할 수 없이 그들은 락 밴드를 결성했다고 한다. 참말일까?


 

닌자 사서 (Ninja Librarian)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pyLTqBARFt8

  대학도서관으로 짐작되는 조용한 도서관. 적막을 깨는 휴대폰 벨소리가 울린다. 휴대폰을 꺼낸 배짱 좋은 남자는 다른 이용자들의 불편은 아랑곳하지 않고, 과감하게도 앉은 자리에서 큰 목소리로 통화를 한다. 이 때 어디선가 홀연히 등장한 닌자(忍者) 사서가 서가 사이로 공중제비를 돌며 이 남자 뒤에 나타나 정의의 심판을 내린다.
 

슈퍼 사서 (Super Librarian)
동영상 보기 : http://www.njlibraries.org/vid.mpeg

  Super Librarian은 뉴저지 도서관 네트워크(New Jersey Library Network)의 홍보마케팅 브랜드이다. 슈퍼 히어로 이미지를 도입한 이유는 문제 해결자(problem solver)로서 도서관 사서를 부각시킬 의도였다고 한다. 뉴저지주의 공공도서관들은 공동으로 이 Super Librarian 캐릭터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 이를테면 대출증에도 이 캐릭터를 삽입하여 디자인했다.

  일찍이 UCC의 가능성에 눈뜬 뉴저지 도서관 네트워크는 “도서관에서 어떤 재미를 누렸는가”, 또는 “왜 도서관을 사랑하게 되었는가”를 주제로 동영상을 만들거나 만화로 그리는 ‘YouTube Comic Contest’를 2007년 5월에 개최했다. 당선작을 출품한 이들에겐 MP3 플레이어 등의 경품이 주어졌다.

☞ 관련 동영상 :
    The adventures of super librarian
    http://www.youtube.com/watch?v=Bu-TijjVs_g

    What are your three reasons?
    http://www.youtube.com/profile?user=nancydowd
 

살아있는 시체 사서들의 밤
(Night of the living dead librarian)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OB2zb9-mLo

  덴마크의 코페하겐 미래학연구소는 2021년경에는 사서와 같은 직업이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격분한 DDC boy와 Colon boy가 마이클 고먼(Michael Gorman)의 손녀와 함께 복수한다는 내용의 묵시록이다. 제목은 영화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에서 따온 듯하다.
 

서울의 잠 못 이루는 밤
(IFLA Seoul 2006 Dance party)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dRCoFgiIx_Y

  지난 해 개최된 2006 서울 WLIC의 대한민국 문화관광부장관 만찬의 신명나는 뒷풀이 광경을 어느 외국인 참가자가 촬영하여 세계 최대의 UCC 사이트 유튜브에 올린 영상이다. 언제 어디서나 점잖을 것만 같은 사서들이 광란의 밤을 보내는 모습이 이색적인데, 실은 댄스파티는 WLIC 때마다 열리는 전통적인 이벤트라고.
 

사서직 안내 (Your Life Work : The Librarian)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smrrZpbvI20

  미국 정부가 1946년에 취업 가이드용 홍보 영상으로 제작한 ‘Your Life Work’의 Librarian 편이다. 희귀한 옛날 동영상으로서, 배경에 나타난 곳은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도서관이라고 한다.
 

영화 속의 사서 (The Hollywood Librarian Trailer)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A8kd4fC1bwo

  세이들(Ann Seidl)과 다수의 사서들이 미국 영화에 나타난 사서들의 일과 삶에 초점을 맞춰 제작한 영화 The Hollywood Librarian: Librarians in Cinema and Society4)의 예고편이다. 이 다큐멘터리 영화는 2007년 6월 22일 미국도서관협회 연차총회에서 개봉되었다.

☞ 관련 동영상 :
    Scenes from the World Premiere
    http://www.youtube.com/watch?v=J9ruYLa0JLM

 

도서관의 UCC 활용 백태

사서가 만들면 다릅니다
(Library Staff Makes a World of Difference)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0ryJ71vPmY0

  헌스빌-매디슨카운티 공공도서관(Huntsville-Madison County Public Library)이 2007년 직원 계발의 날(Staff Development Day)을 맞아 비(Bee)의 ‘Make a Difference’라는 곡을 배경으로 도서관 직원들을 소개하는 뮤직비디오이다.
 

한 줄기 빛 (Ray of Light)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vrtYdFV_Eak

  성요셉카운티 공공도서관(St. Joseph County Public Library)이 팝가수 마돈나가 1998년에 발표한 ‘Ray of Light’의 뮤직비디오 촬영 기법을 패러디하여 제작한 도서관 홍보 동영상이다.
 

Library Welcome Video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i-t0LHnw-fc

  여느 도서관 홍보 동영상과는 다른 윌리암스대학(Williams College) 도서관의 홍보물.

☞ 관련 동영상 :
    New Vestavia Hills Library Campaign Video
    http://www.youtube.com/watch?v=LVyWDN1PCtI

    살레시오여고 도서관 홍보 영상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1098376

    명주도서관 홍보 동영상
    http://www.pandora.tv/my.daihanama/2949890

    야음초등학교 도서관 이용 안내
    http://rts4004.ktsh.co.kr/dav/uccfs/PUD/la/wedu/SWF/1181269909_200706081106350427677701_0.swf
 

도서관 책 찾기 (How to Find a Book)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dXh2q5nfQB0

  도서관에서 OPAC을 이용하거나 사서의 도움을 받아 원하는 자료를 찾는 요령을 알려주는 동영상을 로바흐 도서관(Rohrbach Library)에서 제작하였다.
 

라이브러리 오브 락 (Rock 'n' Roll Library)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ItCIHAksjf4

  피처버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이 국가도서관주간을 맞이하여 도서관 마케팅 과목의 과제물로 제작한 동영상이다.
 

봄날의 도서관을 좋아하세요?
동영상 보기 : http://blog.paran.com/ourlibrary/9732241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학생들로 구성된 ‘문지모’가 동 대학의 교육학과 교육공학 실습 과목의 수업 과제물로 제작한 도서관 교육 영상물이다. 대학생들만의 재치와 참신함을 엿볼 수 있다.

 ☞ 관련 동영상 :
     후편 - http://blog.paran.com/ourlibrary/9732911
     에필로그 - http://blog.paran.com/ourlibrary/9733358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과 Classic의 만남
동영상 보기 :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3140203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은 정보와 문화가 함께하는 열린 공간을 목적으로 동 대학 총학생회와 동아리 오케스트라의 협찬을 통해 클래식 연주회를 개최했다.
 

노래 가사 바꾸기를 이용한 도서관 이용 지도
동영상 보기 :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2243088

  버즈(Buzz)의 ‘Funny Rock’이란 곡의 가사를 바꾼 도서관 이용 교육 노래로, 2006년 5월에 열린 「학교문화예술교육과 학교도서관」 워크숍에서 공개되었다.
 

내가 사랑하는 도서관 (The Library Code)
동영상 보기 : http://www.youtube.com/watch?v=KBJcZOgPEFw

  게일(Thomson Gale)사는 이용자들의 도서관 사랑을 표현하는 ‘I Love My Library!(Librareo!)’ 비디오 콘테스트를 개최했다. 175편의 작품이 유튜브를 통해 출품된5) 가운데 심사를 거쳐 5개 작품이 최종 결선에 올랐다.6) 주최 측은 2007년 6월 24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도서관협회 연차총회에서 ‘The Library Code’란 작품을 최우수작으로 발표했다.
 

세컨드 라이프의 사서 (Librarians of Second Life)
동영상 보기 : http://hvxsilverstar.blip.tv/file/180199/

  3D 가상현실 커뮤니티인 세컨드 라이프7)는 아바타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관계 형성을 하는 가상의 공간이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 사이트들의 영향력을 간파한 미국의 도서관들은 서비스 영역을 가상공간에까지 확장하고 있는데, 심지어는 세컨드 라이프에도 도서관을 만들어 서비스할 정도이다. 이 동영상은 2007년에 열린 제13회 연구도서관협회(ACRL) 연차총회의 포스터세션을 통해 공개된 것이다.

....................................................................................................................................................................................

1) “Time's Person of the Year: You”, Time 2006/12/13, <http://www.time.com/time/magazine/article/0,9171,1569514,00.html>
2)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인 프로슈머는 생산자인 동시에 소비자이고, 소비자이면서 생산을 하기도 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3) 정재윤ㆍ장진영. 2007. 『대한민국 UCC 트렌드』. 서울: 새빛. 104.
4) http://www.hollywoodlibrarian.com
5) http://www.youtube.com/group/LIBRAREO
6) http://www.gale.com/librareo/vote.html
7) http://www.secondlife.com

    글|전창호ㆍ부산여대 도서관 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