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의 말 = 9 머리말 = 11 약어 = 17 갈릴리 지도 = 19 서론 = 21 문제들 = 27 과정과 전망 = 32 제1장 제국의 교차로 갈릴리 = 41 갈릴리에 살았던 이스라엘 지파들의 독립성 = 42 예루살렘의 지배: 첫 번째 국면 = 47 사마리아와 아시리아, 페르시아, 프톨레미, 셀류시드 치하의 갈릴리 = 50 예루살렘의 지배: 두 번째 국면 = 55 로마의 정복, 가신 왕, 재정복 = 60 막간의 독립: 로마의 재정복과 도시화 = 71 제2장 도시화의 기념비, 세포리스와 티베리아스 = 81 하스몬 왕조와 혜롯 치하의 세포리스 = 86 세포리스와 티베리아스: 경쟁적인 왕실 도시들 = 89 로마 가신 통치자의 정치 문화 = 92 새로 건설된 지방 도시들의 코스모폴리탄적인 얇은 막 = 101 로마의 도시화의 정점과 랍비들의 등장 = 105 제3장 무역인가 조세인가: 로마 시대 갈릴리의 정치 경제 = 113 갈릴리 고지대의 동전들과 무역 = 115 갈릴리 지역의 도자기와 무역 = 118 시장 경제의 문제 = 122 로마 시대 갈릴리의 정치 경제 = 127 갈릴리 도시-촌락의 정치 경제적 관계 = 136 갈릴리와 두로 사이의 정치 경제적 관계 = 139 제4장 갈릴리 고지대의 촌락들 = 143 갈릴리 내 지역주의 가설 = 146 하스몬 가와 혜롯 가 치하의 갈릴리 고지대 촌락들 = 153 2~4세기의 갈릴리 고지대 촌락들 = 160 제5장 갈릴리 저지대의 촌락들 = 169 나사렛과 세포리스 근교의 다른 촌락들 = 171 가버나움과 티베리아스 근교의 다른 촌락들 = 176 촌락과 도시 사이의 갈등 관계 = 184 도시들에 대한 촌락민들의 적극적 저항 = 191 제6장 처음에 회당은 건물이 아니었다 = 203 회당 건물의 건축학적 유형과 연대 = 205 개별 회당 건물들 = 208 갈릴리 회당 건물들의 문화 = 214 점증하는 유대적 경향 = 215 공공 건물들의 기능 = 221 지역의 공동체 집회 장소로서의 회당 = 223 제7장 언어와 문화적 전통 = 235 읽고 쓰기와 말하기 = 237 갈릴리와 유대 지역의 기록된 언어 = 241 갈릴리와 유대 지역의 구술 언어들 = 247 문화적 전통들 = 260 결론 : 역사ㆍ사회적 맥락에서 본 예수와 랍비들 = 267 예수와 그의 운동 = 270 갈릴리의 랍비 집단들 = 279 주석 = 287 역자 해설 = 347 찾아보기 =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