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상인의 문학을 위하여 잃어버린 문학을 찾아서 = 21 삶보다 더 일상적인 문학 = 23 작가라는 일상인 = 26 문학어와 일상어의 번지수 = 28 누가 읽는가 = 33 문학이 무슨 소용인가 = 36 일상의 영광을 위하여 = 38 2. 문학은 대상이 있으므로 가능하다 《탈무드》의 문학적 암시 = 41 바보의 자기 확인 = 43 수사학의 헛된 너울 = 46 토끼의 봄과 상대성의 원리 = 49 건너편 보기와 세계관 = 51 운동화 상표와 시각의 다양성 = 54 인간적 삶과 문학적 감동 = 57 3. '토정비결' 알 만하면 문학도 충분하다 '토정비결'이 베스트셀러가 된 비결 = 61 비유적 표현의 다양성 = 63 언어가 지닌 무한한 뜻 = 67 '제 눈의 안경'으로 세상 보기 = 70 삼라만상의 다의성(多義性) = 73 동상이몽(同床異夢)과 이상동몽(異床同夢) = 77 문학, 그 영원한 창조의 길 = 80 4. 문학은 새롭고 영원한 별명 붙이기다 별명은 고유명사다 = 85 '식인종 시리즈'의 묘미 = 88 원초적 언어와 낯설게 하기 = 91 비밀 폭로와 문학의 즐거움 = 94 앎의 즐거움과 문학 = 98 문학적 공감의 원천 = 101 영원한 별명을 찾는 문학의 길 = 106 5. 문학은 참된 거짓말이다 거짓말이야! = 113 '말이 그렇단 말이다' = 116 인간의 모순된 본질 = 120 무한한 욕망의 모순 = 124 유한한 인간의 불완전성 = 126 피안 지향성의 모순 = 130 삶의 동력이 샘솟는 원천 = 134 문학은 인간 탐구다 = 139 6. 문학은 할머니 말씀이다 할머니는 점쟁이 = 145 할머니의 자기 확인 = 148 '오냐. 오냐'의 언어 = 151 자장가와 애국가의 뿌리 = 155 베트남의 람보와 한국의 람보 = 158 '콩콩'과 '잼잼'의 언어 = 162 '후유'와 '걸랑'의 언어 = 167 '어흥'과 '까꿍'의 언어 = 171 7. 문학은 즐거운 놀이다 드봉 쓰봉 따봉 = 177 '공당문답'의 문학적 암시 = 179 '태정태세 문단세……'의 비밀 = 183 바보의 '응?' '으응!'과 짝짓기의 원리 = 186 짝짓기의 인간론적 확장 = 188 말놀이의 흥미와 신비 = 190 초현실주의의 말놀이적 세계 = 193 말놀이의 즐거움과 이야기의 구조 = 196 새장의 안과 밖 - 얽매임과 벗어남 = 199 '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의 문학 = 202 얽매임과 벗어남의 무순된 즐거움 = 205 8. 문학에는 담도 없고 벽도 없다 옷과 가리개의 국경 분쟁 = 207 문학에 담은 있는가 = 209 '사실 대 허구'의 허구성 = 213 표현과 전달의 연립주택 = 217 감정 대 논리의 비논리성 = 221 문학이라는 누각(樓閣) = 225 9. 강아지 걷어차기와 문학하기 화풀이의 수사학 = 229 소금 먹은 놈이 물 켠다 = 231 언어의 기능과 문학 = 235 자기 표현의 길 = 237 누구를 위한 지령인가 = 241 정보적 기능과 문학의 비밀 = 243 10. 문학은 돋보기로 담뱃불 붙이기다 렌즈의 신비 = 247 말과 삶과의 관계 = 249 사회적 삶의 렌즈 = 252 광각(廣角) 렌즈과 어안(魚眼) 렌즈 = 255 간접화로 가는 길 = 260 참새 시리즈의 사회사 = 263 11. 문학은 서부 활극이다 주인공은 이긴다 = 267 자는 자의 승리 = 269 재미있는 슬픔 = 272 욕쟁이 할머니와 리얼리즘 = 276 현실 폭로와 풍자의 거리 = 279 창구멍으로 엿보는 재미 = 282 보카치오의 후예들 = 286 약장수의 교훈 = 288 재미와 위대성 = 289 12. 사랑을 분석하라, 문학이 거기 있다 '제 눈의 안경'의 행렬 = 293 착시(錯視)와 자기 동일시(自己同一視) = 295 '보이는 것은 그대의 얼굴'과 형상화 = 297 '소설 쓰고 있네'와 서사(敍事) = 299 '결혼식에서 끝나는 영화'와 시(詩) = 302 사랑의 연극과 연극적 인생 = 305 표현의 언어와 전달의 언어 = 308 결혼의 관습과 문학의 장르 =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