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인류와 지속 가능성 제1장 환경문제, 그 원인과 지속 가능성 = 2 사례 연구: 지수생장시대의 삶 = 2 1-1 더욱 지속 가능한 삶 = 3 1-2 인구성장, 경제성장, 경제개발과 세계화 = 4 1-3 자원 = 6 1-4 오염 = 9 1-5 환경문제와 자원문제: 원인과 그 연결 고리 = 9 1-6 우리의 현재는 지속 가능한가? = 12 제2장 환경문제의 역사: 과거로부터 배운다 = 17 사례 연구: 멸종 위기까지 이르렀던 미국 들소 = 17 2-1 문화적 변화와 환경 = 18 2-2 미국의 환경역사: 원주민시대와 개척시대 2-3 미국의 환경운동 역사: 초기 보전 시대(1832~1960) 2-4 미국의 환경 역사: 환경운동시대(1960~2004) 2-5 사례 연구: 레오폴드(Aldo Leopold)와 그의 토양윤리관 제2부 과학과 생태학의 원리 제3장 과학, 계, 물질 및 에너지 사례 연구: 이스터 섬의 환경 교훈 3-1 과학의 본질 3-2 모델과 계의 행동 3-3 물질 3-4 에너지 3-5 물질보존의 법칙: 깰 수 없는법칙 3-6 핵 변화 = 44 3-7 에너지법칙: 깨뜨릴 수 없는 두 가지 규칙 = 46 3-8 물질 및 에너지법칙과 환경문제 = 46 제4장 생태계란 무엇이고 어떻게 유지되나? = 51 사례 연구: 곤충에게 고마워한 적이 있는가? = 51 4-1 생태학의 성격 = 52 4-2 지구의 생물부양체계 = 55 4-3 생태계의 구성원 = 57 4-4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 = 63 4-5 생태계의 1차 생산력 = 66 4-6 토양 = 68 4-7 생태계의 물질 순환 = 71 4-8 생태학자는 어떻게 생태계를 연구하나? = 78 제5장 진화와 생물다양성 = 83 사례 연구: 지구: 꼭 알맞은, 복원력을 가진 행성 = 83 5-1 생명의 기원 = 84 5-2 진화와 적응 = 86 5-3 생태적 지위와 적응 = 87 5-4 종분화, 멸종 그리고 생물다양성 = 90 5-5 진화의 미래는 무었일까? = 93 제6장 기후와 육상 생물다양성 = 99 사례 연구: 바람에 날리며: 연결의 이야기 = 99 6-1 날씨: 간단한 소개 = 100 6-2 기후: 간단한 소개 = 103 6-3 생물군계(Biome): 기후와 육상생물 = 108 6-4 사막 생물군계 = 109 6-5 초원, 툰드라, 경엽수림 = 112 6-6 산림 생물군계 = 118 6-7 산악 생물군계 = 122 제7장 수계 생물다양성 = 125 사례 연구: 산호초를 걱정하는 이유는? = 125 7-1 수중 환경 = 126 7-2 해양 생물분포대 = 128 7-3 담수 생물분포대 = 135 제8장 군집 생태학 = 141 사례 연구: 날여우(Flying Foxes): 열대림의 핵심종 = 141 8-1 군집의 구조와 종다양성 = 142 8-2 종의 유형 = 144 8-3 종간 상호작용: 경쟁과 포식 = 147 8-4 종간 상호작용: 기생, 상리공생, 편리공생 = 152 8-5 생태천이: 군집의 변화 = 153 8-6 생태학적 안정성, 복잡성 그리고 지속 가능성 = 157 제9장 개체군생태학 = 161 사례 연구: 해달(Sea otter): 해달은 멸종 위기에서 되살아날 수 있을까? = 161 9-1 개체군 변화와 수용능력 = 162 9-2 생식 유형과 생존 = 167 9-3 개체군 크기에 대한 유전적 변이의 효과 = 169 9-4 자연계에 미치는 인간의 영향: 자연으로부터의 시사점 = 169 제10장 개체군생태학의 응용: 인구 = 175 사례 연구: 태국의 인구 증가 둔화: 성공 사례 = 175 10-1 인구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76 10-2 인구의 연령구조 = 183 10-3 해결책: 인구의 조절 = 186 10-4 사례 연구: 인도와 중국 = 190 10-5 세계 인구 증가의 감축 = 191 제3부 생물다양성의 유지 제11장 육상 생물다양성의 유지: 생태계의 관리와 보호 = 194 사례 연구: 늑대를 옐로스톤으로 재도입하다 = 194 11-1 육상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간의 영향 = 195 11-2 보전생물학 = 197 11-3 미국의 공유지 = 197 11-4 삼림의 관리와 유지 = 199 11-5 삼림자원과 관리 = 205 11-6 열대림 벌채 = 210 11-7 국립공원 = 214 11-8 자연보호지역 = 215 11-9 생태적 복원 = 219 11-10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나? = 221 제12장 생물다양성의 유지: 종 수준의 접근 = 225 사례 연구: 여행비둘기 영원히 사라지다 = 225 12-1 종의 멸종 = 226 12-2 야생종의 중요성 = 230 12-3 서식지 손실과 감소에서 오는 멸종 위협 = 232 12-4 외래종으로부터 멸종 위협 = 235 12-5 밀렵과 사냥으로 인한 멸종 위협 = 239 12-6 기타 멸종 위협 = 240 12-7 야생종 보호: 연구와 법적인 접근 = 241 12-8 야생종 보호: 보호지역으로 접근 = 246 12-9 조정생태학 = 248 제13장 수계 생물다양성의 유지 = 251 사례 연구: 빅토리아 호의 생물학적 변화 = 251 13-1 수계 생물다양성의 개요 = 252 13-2 수계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인 간의 영향 = 254 13-3 해양 생물다양성의 보호와 유지 = 257 13-4 세계 해양어업의 관리와 유지 = 263 13-5 습지의 보호, 유지 및 복원 = 265 13-6 호수와 강의 보호, 유지 그리고 복원 = 267 부록1 측정 단위 = 273 부록2 화학의 기초 = 274 부록3 생물의 분류와 명명 = 277 찾아보기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