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은 인쇄 또는 필사된 도서, 계속자료, 전자자료, 지도자료, 녹음자료, 시청각자료, 고서, 복합자료의 서지정보를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서지데이터에는 공통으로 자료의 표제, 저자명, 판사항, 발행사항, 형태사항, 주제,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자료의 형태에 따른 적용 서지형식은 다음과 같다.
앞서 언급한 여덟 가지 자료 유형 즉, BK, ER, MP, MU, CR, VM, RB, MX는 자료의 유형을 지칭하는 표시로 KORMARC 내에 또는 이 형식과 관련된 문헌에서 사용된다.
KORMARC의 서지레코드는 리더/06(레코드 유형)의 구분부호에 의해 아래와 같이 여러 종류의 레코드로 나뉜다.
마이크로자료는 원본이나 복제본에 관계없이 별도 종류의 레코드로 구분하지 않는다. 마이크로형태 그 자체는 이차적인 것으로 원자료(예: 도서)에 따라 자료의 유형을 구분한다.
마찬가지로 전자자료도 전자 형태 그 자체는 이차적인 것이다. 따라서 원자료가 있는 것은 원자료에 따라 자료유형을 구분한다. 그러나 복제의 형식이라기 보다는 원자료 자체가 전자정보원(electronic resources)인 것이 확실한 경우에는 전자자료로 구분한다.
문자자료 | 녹음자료(음악 이외) |
필사문자자료 | 녹음자료(음악) |
필사악보 이외의 악보 | 전자자료 |
필사악보 | 입체자료(실물) |
지도자료(구체 포함) | 고서 |
필사지도 | 복합자료 |
평면영사자료 | 키트 |
평면비영사자료 |
KORMARC 서지레코드는 리더, 디렉토리, 가변길이필드 등 세 개의 주요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 KORMARC 서지레코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리더 | 디렉토리 | 가 변 길 이 필 드 | ||||||||||||
제어필드1 FT | 2 | 3 | 4 | ... | nFT | 데이터필드1 FT | 2 | 3 | 4 | ... | FT RT |
모든 레코드는 레코드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갖고 있는 고정길이필드인 리더로 시작된다. 리더 다음에는 레코드 내에 있는 가변길이필드의 위치를 지시해 주는 디렉토리가 나온다. 그 다음으로 제어필드와 일반데이터를 갖고 있는 데이터필드들이 나온다. 리더를 제외한 모든 필드의 끝에 필드종단기호(FT=ASCII 1E16")를 기술하며, 이 문헌에서는 KS X 1001(전 KS C 5601)에서 지원하는 해당 문자 형태(▴)를 사용하였다. 마지막 데이터 필드의 끝에는 필드종단기호 다음에 레코드 종단기호(RT=ASCII 1D16")를 기술한다. 이 문헌에서는 KS X 1001(전 KS C 5601)에서 지원하는 해당 문자 형태(↔)를 사용하였다.
레코드 처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요소이다. 이 데이터요소는 숫자 또는 부호값을 나타내며 관련 자릿수에 의해 구분된다. 리더는 24개의 자리로 고정되어 있으며 KORMARC 레코드의 첫 번째 필드이다.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레코드 길 이 |
레코드 상 태 |
레코드 유 형 |
서 지 수 준 |
제어유형 | 문자 부호화 체계 |
지시기호 자 리 수 |
식별기호 자 리 수 |
데이터 기본번지 |
입력 수준 |
목록 기술형식 |
다권본 자원의 레코드 수준 |
엔트 리맵 |
00-04 | 05 | 06 | 07 | 08 | 09 | 10 | 11 | 12-16 | 17 | 18 | 19 | 20-23 |
한 레코드에서 각 가변길이 필드의 표시기호, 필드길이, 필드시작위치를 나타내는 일련의 항목이다. 디렉토리는 해당 레코드의 25번째 자수위치부터 시작된다. 디렉토리는 레코드 내에 있는 가변길이필드 마다 하나씩 배정된 ‘디렉토리 항목’이라는 고정길이 필드로 구성된다. 가변길이제어필드에 대한 디렉토리 항목은 첫 번째로 나타나며 표시기호 순에 의해 순차대로 배열된다. 가변길이데이터필드에 대한 항목은 표시기호에 의해 순차대로 배열된다. 저장된 가변길이데이터필드의 순서는 반드시 디렉토리 항목의 순서대로 배열될 필요는 없다. 마지막 디렉토리 항목은 필드 종단기호로 끝난다.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디렉토리 항목 1 | 디렉토리 항목 2 | ... | 필드종단기호 (FT) |
||||
표시기호 | 필드길이 | 필드시작위치 | 표시기호 | 필드길이 | 필드시작위치 | ... | |
00-02 | 03-06 | 07-11 |
가변길이필드는 제어필드와 데이터필드로 구성되며 각각의 필드를 유형별 또는 기능별로 표시하는 표시기호가 부여된다. 제어필드는 00X 표시기호가 부여되며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없이 데이터와 필드종단기호만으로 구성된다. 데이터필드는 00X 이외의 표시기호가 부여되며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데이터 및 필드종단기호로 구성된다. 표시기호는 디렉토리를 작성할 때 디렉토리로 옮겨지므로 가변길이필드에는 해당 필드의 지시기호부터 나오게 된다.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지시기호 | 식별기호 1 | 데이터내용1 | ... | 식별기호 n | 데이터 내용n | 필드종단기호(FT) | |||
제1 지시기호 | 제2 지시기호 | 구분기호 | 데이터 식별기호 | 구분기호 | 데이터식별기호 |
가변길이필드에는 가변길이제어필드와 가변길이데이터필드가 있다.
00X 필드를 말한다. 이 필드는 디렉토리의 필드 표시기호로 식별이 가능하지만 지시기호나 식별기호를 갖지는 않는다. 가변길이제어필드는 가변길이데이터필드와 구조적으로 다르다. 즉 단일 데이터요소이거나 각각의 상대위치에 따라 성격이 결정되는 고정길이데이터요소로 구성된다.
가변길이제어필드 이외의 가변길이필드를 말한다. 이 필드는 디렉토리의 필드 표시기호로 식별되며, 각 필드의 시작위치에 2자리의 지시기호를 가지며, 그 필드 내에서는 데이터요소마다 2자리의 식별기호를 갖는다.
가변길이필드는 표시기호의 첫 번째 숫자에 따라 0-9까지의 블록으로 나누어지며 표시기호에 의해 레코드 내의 기능을 식별할 수 있다. 필드에서 정보의 유형은 표시기호의 첫 번째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에 의해 구분된다.
1XX, 4XX, 6XX, 7XX, 8XX 블록 내에서 표시기호의 뒷부분 2자리의 숫자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X00 개인명 | X40 표제명 |
X10 단체명 | X50 주제명 |
X11 회의명 | X51 지명 |
X30 통일표제 |
가변길이 데이터필드에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두 종류의 기호를 적용한다.
표시기호가 나타내는 정보 이외의 정보를 추가하여 나타내고자 사용하는 기호로서 그 필드의 첫 번째 2자리에 위치한다. 가변길이 데이터필드에서 처음 2자리 문자위치에 기술되며 지시기호의 2자리 값은 2자리가 함께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인 의미를 가진다. 지시기호는 숫자 혹은 빈칸(ASCII Space)을 사용한다. 이 문헌에서는 빈칸 표시로 "b/"을 사용하였으며 빈칸은 지시기호가 정의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거나 정의되어 있는 지시기호에서는 빈칸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도 있고 관련정보가 없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가변길이필드내의 각 데이터요소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호로서, 각 데이터요소에 대하여 2자리로 나타내며, 구분기호(ASCII 1F16") 1자리와 ASCII 영문소문자나 숫자 1자리를 사용한 데이터 식별기호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는 KS X 1001(전 KS C 5601)에서 지원하는 해당 문자(▾)를 사용하였다. 식별기호는 데이터요소 식별을 위해 정의된 것으로, 배열과는 무관하다. 식별기호의 순서는 일반적으로 목록규칙과 같은 기준을 따른다.
ISSN센터와 같은 지정기관이 부여한 데이터요소에 대해서는 그 지정기관이 책임을 진다. 이는 보통 지정된 기관에 의해 입력되는 반면 다른 기관에 의해 전사(轉寫)될 수도 있다(예, 222(표제)필드는 ISSN센터가 책임을 진다).
각종 부호표에 있는 데이터요소들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의해 유지 관리된다. 예를 들면 발행국부호표, 한국대학부호표, 언어구분부호표 등이 이에 해당된다. 각 부호는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의 필드 또는 식별기호에 입력하고 각 부호표에 있는 부호값만을 사용해야 한다. 만약 각 부호표를 변경하거나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국립중앙도서관에 문의해야 한다.